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계속해서 하태원 국제부장과 이야기 이어 갑니다. 두 번째 키워드는 뭡니까? <br><br>다음 키워드 ‘미리보는 북미회담’ 입니다. <br><br>[질문1] 아무래도 내일 오전10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만날 때 어떤 모습일지 정말 궁금합니다. <br><br>역사적인 만남인지라 그 첫 장면에 어떤 모습이 연출될지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할 듯 합니다. 어쩌면 세기의 악수가 과연 어떤 모습일까가 관심사일 것 같습니다. <br><br>1961년 미소 냉전이 한창일 때 케네디와 흐루쇼프의 악수, 닉슨과 마오의 핑퐁외교당시의 악수, 오바마와 카스트로의 2013년 악수 등이 떠오르는데요. 성공한 악수도 실패한 악수도 있었는데 이번 악수는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됩니다. <br><br>[질문 1-1] 그러고 보니 트럼프는 악수 때문에 숱한 화제를 낳아 왔지요? <br><br>메르켈 독일 총리를 백악관으로 불러 들이고서는 불만의 표시로 악수를 하지 않기도 했고,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과는 악수를 빙자한 힘겨루기를 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질문2] 그리고 AP통신 보도입니다. 백악관 관리의 말을 인용. 내일 9시부터 2시간 통역사들만 대동한다는 게. 드문 경우지요? <br><br>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자신감이라고 생각합니다. 타고난 협상가로 알려진 트런프 대통령이 거의 40년 가까이 나이차이가 나는 김정은 위원장을 일대 일로 앉아 압박하겠다는 뜻으로도 보입니다. <br><br>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"김 위원장 같은 공간에 단 둘이만 있게 해주면 북핵문제 완전히 해결하겠다"고 호언장담해 왔습니다. <br><br>돌이켜 보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난 지도자들은 모두 단독회동을 했습니다. 가장 유명한 장면이 문재인 대통령의 판문점 도보다리 회동이었고, 시진핑 주석 역시 다롄의 방추이 다오에서 통역만 대동한 채 산책을 했습니다. 센토사에서의 단독 회담이 어떤 모습이 될지 기대됩니다. <br><br>[질문3] 역시 외신 보도. 로이터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내일 오후 2시 바로 평양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잠정적 계획을 보도했지요. 이러면 점심은 함께 안 한다는 뜻이겠군요. <br><br>일정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로이터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그렇게 보도했습니다. <br><br>이 시나리오대로 된다면 단독정상회담을 한 뒤 확대정상회담을 갖고 곧바로 출국하는 일정이 될 듯 합니다. 같이 식사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수도 있는데. 회담 분위기에 따라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 할지 여부도 판가름 날 듯 합니다. <br><br>[질문4] 그런데 자리를 박차고 나올 수 있는 건 트럼프 역시 마찬가지 아닙니까? <br><br>김정은 위원장이 일종의 벼랑끝 심리전을 펼치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 협상장을 박차고 나올 것이라는 말은 트럼프 대통려잉 여러차례 반복해 왔습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/ 미국 대통령]<br>"난 언제든지 협상장에서 걸어 나올 수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. 이미 한번 그런 적이 있죠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(지난 9일)]<br>얼마나 걸리겠느냐고요? 내 생각에는 1분 이내면 알아차릴 수 있을 겁니다. <br><br>회담의 성공을 바라는 우리정부도 노심초사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세기의 담판 결과도 이제 개방박두입니다. <br><br>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